1940년대 ‘마법의 탄환’이라 불리는 페니실린 발견 이후 무수한 생명이 항생제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 인류가 마침내 기나긴 병원균과의 전쟁에서 완전히 승리를 거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70여 년 만에 항생제가 등장하기 이전처럼 다시 단순한 감염이나 상처로도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시대가 올 수 있다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경고가 나왔다. 항생제가 통하지 않아서 비롯되는 ‘항생제 이후 시대(post antibiotics era)’를 지적하고 있는 것.
폐 렴은 백신과 강력한 항생제의 개발로 거의 퇴치된 가벼운 질병으로 간주됐다. 그러나 새로 나타난 폐렴구균은 여러 항생제에 말을 듣지 않는 다제내성균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폐렴구균 80%가 3종류 이상의 항생제에 말을 듣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healthtap.com
‘돌아온 장고’ 폐렴.
과거의 질병이라고 무시해온 폐렴이 막강하게 재무장을 하고 다시 돌아와 우리를 위협하고 있다. 기존 항생제에도 끄떡하지 않는 강력한 세균으로 변신해 우리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
폐렴은 세균과 바이러스, 그리고 곰팡이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백신이 개발된 이후 감염률과 발생률이 현저하게 줄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치명적인 ‘슈퍼 세균’으로 변신해 다시 돌아왔다. 지난 10년간 사망률이 급증하면서 급기야 사망원인 11위의 질병으로 뛰어 올랐다.
국내 폐렴구균 80%, 3종류이상 항생제 안 들어
지난 7월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는 국내에서 발견된 폐렴구균의 80%는 3가지 종류 이상의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이른바 ‘다제내성(multi drug resistance)’으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더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