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전자방출단층촬영검사(PET-CT)는 주로 암 발견이나 신체 이상을 감지하는데 활용되지만 뇌 영상 촬영에도 사용되는 고가의 장비다.
지난 7월 9일 미국 국방부 산하 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총 3750만 달러의 거금을 내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목표는 ‘기억 생성 및 인출 메커니즘 규명과 이 메커니즘을 자극해 기억력을 복구하는 장치 개발’이었다. 마치 타임머신을 개발해 달라는 것처럼 허황돼 보이기까지 한 이 프로젝트는 지난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발표한 ‘브레인 이니셔티브’의 일환이다. 이 ‘장치’의 역할은 군인이나 참전용사들이 흔히 앓는 외상후스트레스 장애나 기억력 장애를 극복하는 것이다. 장치 개발을 맡은 두 연구소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UPenn)와 캘리포니아 로스엔젤레스대(UCLA)다.
이들 연구소의 계획은 다음과 같다. UPenn 연구진은 우선 간질환자 100명을 모아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기억력 게임을 하게 하면서 그들의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활성을 기록한다. 점수에 따른 전기활성 패턴 차이를 비교해 뇌의 성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만든다. 이 알고리즘에 따라 각 환자의 뇌에 이식된 전극에 전류를 흘려보내고, 이 과정을 제어해 개선을 유도하는 식이다.
UCLA 측은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뇌를 실시간으로 자극하는 이식 장치를 활용할 계획이다. 내후각피질 안에 있는 특정 회로를 표적으로 하여 뇌를 직접 자극해 뇌손상을 복구하겠다는 것이다. 양대 과학저널 사이언스와 네이처는 최근 이 뉴스를 전하면서 “뇌손상이나 퇴행성 신경 질환 등으로 기억을 상실한 사람들이 이 장치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이미 사라져 버린 기억을 복구할 수 있는 장치는 없으며, 과도한 기대를 갖지 마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