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해리포터'에 나온 투명망토, 주변 환경을 인식해 카멜레온처럼 색을 바꾸는 군복, 서울에서 부산까지 1시간에 주파하는 시속 700㎞ 초고속 열차, 투명 유리를 태양전지로 쓰는 주택….
국가과학기술위원회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2일 '제4회 과학기술예측조사' 결과를 발표해 공상이거나 좋은 아이디어 수준으로만 여기던 이런 기술이 20여년 안에 현실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국내외 과학기술자 5,405명을 온라인 설문 조사한 이 조사에 따르면 2035년까지 상용화할 미래과학기술은 652개. 이 중 향후 10년 안에 519개(79.6%) 기술이 개발되고 294개(45.1%)를 일상 생활에서 실제로 쓸 수 있게 된다.
투명하면서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2017년, 의류 등 가상물체에 촉감을 전달하는 홀로그램 기술은 2019년께 한국에서 가장 먼저 개발할 것으로 국과위 등은 내다봤다. 알아서 자동으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자동차(2024년), 정확도가 90% 이상인 자동통역기술(2027년), 머리 좋아지는 약(2031년), 개인용 비행보조장비(2035년)도 차례로 국내 보급된다.
하지만 이 미래과학기술 중 현재 한국이 선두에 선 기술은 ▦2D영상의 3D 변환 ▦액화수소 지하저장 ▦사상의학에 따른 체질분류 3개뿐이라고 국과위는 평가했다. 한국의 미래과학기술 수준은 현재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63.4% 수준에 그친다. 2004년 제3차 과학기술예측조사(52.2%)때보다 높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선진국과의 평균 기술격차는 3.2년. 격차가 10년 이상인 기술은 11개인데 모두 항공ㆍ우주 분야다....
과학자 케쉬를 기억하시나요? 그가 3년전부터 세계 과학계에 등장해서 신출귀몰한 이론을 제시했던 것인데요 지난 2월에 미소자장 Tiny Magnetic Field 이론을 제시하여 과학계를 새로 시작할 기반을 제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습니다. 그랬는데 이젠 세계 산업계도 영향을 주고요 인류사회에 큰 희망을 던지는 놀라운 제안을 던집니다. 다름아닌 물질형성기술과 반중력기술을 공여하여 인류사회가 우주로 향한 산업을 시작할 수있도록 돕겠다는 이야기입니다. 놀랄 노짜의 하늘 문이 열리는 것인가요? 아님 말뿐인 해프닝인가요.. 좀더 읽어보시죠.
Transfer of Keshe Foundation Know-how to world governments
By Mehran Tavakoli Keshe May 3, 2012 - 1:56:22 AM
1) 벨기에에 소재한 케쉬 재단은 첫번째 국제세미나를 4월21일에 열어서 세계 각국 정부에 소립자 기술과 우주과학 기술의 완전한 공여작업을 개시했다. 이는 세계국가들 간의 평등의 정신에 입각하여 유엔 헌장의 세계 평화의 원리를 실현한다는 취지로 시행된 것이다. 이에 유럽항공국과 미국 NASA도 초청되었다.
2) 4월21일 세미나로부터 케쉬재단의 우주기술과 모든 노하우는 세계 각국정부에 제공되고있다. 이는 비용이 무료이며 다른 조약이나 법적 조건이 가해지지않는 자유로운 공여이다. 또 미국으로부터 작은 나라에 이르기까지 평등하게 제공되며 아무런 차별이 가해지지않는다. 두번째 세미나는 올해 9월 케쉬재단 센터에서 열릴 예정이다.
3) 케쉬재단은 초미의 관심이 걸린 반추진의 반중력 플라즈마 시스템기술을 케쉬재단이 개발한 것을 공여한다. 이는 어느국가이건 우주발사대 시설을 사용치않고 바로 우주공간에 여행하며 작업을 할 수있음을...